-
최종 프로젝트 시작입니다.
만들 게임이 범인을 찾는 추리형 비주얼 노벨이기 때문에 스토리 구성이 가장 중요한데요.
먼저 게임에 쓸 이미지는 외주로 맡기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그림체 분위기를 어떤걸 사용할지 찾아봤구요.
범인이랑 어떻게 살해했는지, 동기는 무엇인지부터 주변인물들은 피해자랑 어떤 갈등이 있는지 등을 작성했습니다.
작성된 포인트를 가지고 팀장님이 시나리오 작성해주신다고 해서 저는 범인을 찾기위한 필요한 증거물이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서 정리해봤고 어떻게 만드는게 좋을지도 고민해봤습니다.
증거물을 어떤 것을 찾았냐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이템을 만드는 느낌이 강할 것 같습니다.
이것만 적으면 너무 한게 없어서..
기술 면접을 준비하기 위한 질문 리스트를 받았는데 매일 작성하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float와 int의 표현 가능한 수의 범위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float과 int를 표현하기 위한 bit 수는 동일하지만 float은 실수, int는 정수를 표현하기 때문에 bit를 사용하는 용도가 다릅니다. 1bit은 부호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동일하지만, int는 31bit을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고, float은 31bit 중 8bit는 지수를, 23bit는 가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int는 31bit을 수를 나타내는 것에 사용되기 때문에 그대로 비트를 보여주면 바로 계산이 가능해서 정확하지만,
float은 지수부와 가수부로 나눠져있으며, 지수부는 10의 거듭제곱으로 값의 크기를 표현하고 가수부는 값의 모양을 표현하므로 유효자리 비트의 범위를 넘게되면 근사치를 취하여 원래 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int보다 부정확하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사실 크기는 float이 더 클 줄 알았는데 int랑 동일하다고 하니깐 조금 당황스럽습니다..
그리고 잊고있던 지수와 가수가 등장해서 제가 맞게 기억하고 있는지 찾아보기도 했는데요.
검색할 때 지수 가수 하니깐 블랙핑크 지수님이 나오셔서 머릿 속에 물음표를 열심히 띄웠네요.
다시 찾아보니깐 지수는 소수점의 위치, 가수는 소수 부분이라고 합니다.
지수가 소수점 앞부분, 가수는 소수점 뒷부분이라고 기억하고 있었는데 비슷하지 않을까요?!